본문 바로가기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열린도지사실

경상북도 menu
도지사 일정 카드뉴스 타임라인

21.09.29 세포막 단백질 연구소 준공식

이 연구소는 지난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사업공모에 선정돼 올해까지 5년간 총사업비 458억원(국비 229)을 투자해 조성한 바이오 신약개발 핵심 연구시설이다.

 

연구소 인프라 구축에 255억을 투입해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 등의 구조 분석 장비 도입과 연면적 6086, 5개 층(지하1, 지상4) 규모로 조성했다.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

 

 

 

바이러스, 단백질 등 생체 분자영하 200C 이하의 극저온 상태급냉시켜 원자 단위로 정밀하게 관찰하는 전자현미경

 

2017,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 개발자에게 노벨 화학상 수여

* 자크 뒤보쉐 스위스 로잔대 교수, 요아킴 프랭크 컬럼비아대 교수, 리처드 핸더슨 MRC분자생물학연구소 박사

 

특히 극저온전자현미경을 이용,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 단백질(spike protein) 입체구조를 제작하여 백신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데 기여

 

연구소는 암, 감염성, 대사성, , 심혈관, 희귀질환 등 6대 중증질환 막단백질의 구조분석, 기능, 응용연구를 통한 항체의약품 및 신약후보물질개발을 위해 5개 과제, 181억 규모로 연구개발 중에 있다.

 

그간 경북도는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웰니스 등으로 글로벌 바이오 신약 시장의 확대 전망에 따라 2016년 산학연관이 함께하는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협의체 출범을 시작으로 신약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조성과 연구개발 지원에 노력해왔다.

 

또한 철강, 자동차 등 지역 주력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변화할 수 있는 미래성장 동력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에 발맞춰 2552억원 규모의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이를 위해 2017년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가속기신약연구소 비즈니스융복합센터 건립 신약연구중심병원 첨단임상시험센터 동물대체시험평가센터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

 

 

 

‘19 ~‘25/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 2,552억원(국비 1,006, 지방비 1,546)

(연구거점)세포막단백질연구소, 가속기신약연구소, 비즈니스융복합센터

(임상지원)신약연구중심병원, 첨단임상시험센터, 동물대체시험평가센터

그 중 핵심 사업인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건립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이번에 준공하게 됐다.

 

이는 34세대 가속기와 함께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구조분석 연구거점을 보유하게 돼 미개척 신약 연구 분야에 대한 세계 최고 제약기술 확보를 통해 1500조 글로벌 신약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디딤돌을 마련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올해 5월 바이오신소재 기업의 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포항지식산업센터 완공과 내년 바이오프린팅 활용 동물대체시험평가센터 조성으로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경북도는 첨단기술 기반의 신약개발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구조기반 신약백신개발 기업의 통합 지원 체계 마련과 식물을 활용한 그린바이오로직스 산업 육성에 집중 할 계획이다.

 

특히 북부권 백신산업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신약백신 개발의 공동연구와 제품실증, 인력양성 및 교류 등의 다양한 바이오 의약 산업 육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