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지표
일자리 분야자세히 보기
저출생 분야자세히 보기
4차산업 혁명분야자세히 보기
관광 분야자세히 보기
복지 분야자세히 보기

농산어촌 분야자세히 보기
안전 분야자세히 보기
SOC 분야자세히 보기
균형발전 분야자세히 보기
감동행정 분야자세히 보기
일자리 늘어나는 신바람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1-1. 좋은 일자리 10만개 컨트롤타워 및 거버넌스 | |||||
좋은일자리 10만개 창출 | 12,500개 | 37,500개 | 62,500개 | 87,500개 | 100,000개 |
1-2. 투자유치 20조원 | |||||
투자유치 20조원 | 투자유치 25,000억원 | 투자유치 50,000억원 | 투자유치 50,000억원 | 투자유치 50,000억원 | 투자유치 25,000억원 |
1-3.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및 기업유치 | |||||
노후산업단지 재생 | 1개소 | 1개소 | 1개소 | 1개소 | |
공공시설물 정비 | 20개소 | 20개소 | 20개소 | 20개소 | 10개소 |
기업유치 | 산업단지내 투자유치MOU 5개사 | 산업단지내 투자유치MOU 12개사 | 산업단지내 투자유치MOU 12개사 | 산업단지내 투자유치MOU 13개사 | 산업단지내 투자유치MOU 6개사 |
조직ㆍ기능 강화 | 대기업 등 민간기업 출신 기업유치 전문가 임용 |
||||
1-4. 경북형 청년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 |||||
청년창업지원 | 225명 | 450명 | 675명 | 900명 | 1,000명 |
청년유입・안착추진 | 2,700명 | 4,600명 | 6,500명 | 8,400명 | 10,250명 |
청년취업 역량강화 | 1,500명 | 3,920명 | 6,340명 | 8,760명 | 9,260명 |
1-5. 청년일꾼 양성소 청년사관학교 운영 | |||||
청년사관학교 운영 | 60명 | 160명 | 260명 | 360명 | 460명 |
1-6. 소상공인 일자리 지키기, 맞춤형 지원 확대 | |||||
전통시장 시설인프라 확충 | 20개 | 40개 | 60개 | 80개 | 100개 |
특성화시장 육성 | 2개 | 4개 | 6개 | 8개 | 10개 |
소상공인지원센터 | 설치운영계획수립 | 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 지원센터운영 | 지원센터운영 | 지원센터운영 |
소상공인육성자금 융자추천액(억원) | 100억원 | 500억원 | 900억원 | 1,300억원 | 1,500억원 |
1-7. 문화관광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 |||||
문화관광분야 일자리 창출 | 좋은일자리 37개 | 좋은일자리 891개 | 좋은일자리 988개 | 좋은일자리 1,085개 | 좋은일자리 1,150개 |
1-8. 경력단절 없고 차별없는 여성일자리 창출 | |||||
여성일자리 | 4,360 창출 | 8,700개 창출 | 9,070개 창출 | 9,580개 창출 | 5,090개 창출 |
1-9. 어르신 인생2막 일자리 창출 | |||||
노인 일자리 | 2,000개 지원 | 5,000개 | 5,000개 | 5,000개 | 2,500개 |
1-10. 차별없는 장애인 일자리 창출 | |||||
장애인 일자리 | 610개 창출 | 1,910개 창출 | 3,410개 창출 | 5,010개 창출 | 5,630개 창출 |
1-11. 사회적 경제 중심의 일자리공동체 | |||||
사회적경제조직 육성 | ・사회적기업 20 ・마을기업 5 ・협동조합 25 →50개 육성 |
・사회적기업 40 ・마을기업 10 ・협동조합 50 →100개 육성 |
・사회적기업 40 ・마을기업 10 ・협동조합 50 →100개 육성 |
・사회적기업 40 ・마을기업 10 ・협동조합 50 →100개 육성 |
・사회적기업 20 ・마을기업 5 ・협동조합 25 →50개 육성 |
1-12.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할당제 강화 | |||||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율 |
18% | 21% | 24% | 27% | 30% |
출자출연기관 지역인재 채용률 |
18% | 21% | 24% | 27% | 30% |
저출생을 극복하는 아이세상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2-1. 이웃사촌 시범마을 조성 | |||||
이웃사촌 시범마을 | 기본구상수립 기본계획용역 |
기본계획용역 기본설계용역 |
실시설계용역 행정절차추진 |
보상 및 수용 사업착공(1단계) | 사업준공(1단계) 행정절차(2단계) |
2-2. 민간・국공립 차별없는 양질의 보육환경 제공 | |||||
민간・국공립 차별없는 양질의 보육환경 조성 | 국공립 5개 공공형 10개 |
국공립 10개 공공형 10개 |
국공립 10개 공공형 10개 |
국공립 10개 공공형 10개 |
국공립 5개 |
2-3. 경북형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 | |||||
온종일 돌봄 체계구축 | 사업별 수요 파악 | 마을돌봄터 (10개소 신규) |
마을돌봄터 (10→25개소) |
마을돌봄터 (25→45개소) |
마을돌봄터 (45→70개소) |
연도별 계획 수립 (인프라 확충 등) |
마을밀착형 공모 사업 추진 (30개프로그램) |
마을밀착형 공모 사업 추진 (30개프로그램) |
마을밀착형 공모 사업 추진 (30개프로그램) |
마을밀착형 공모 사업 추진 (30개프로그램) |
|
사업별 소요예산 확보 | 공립형 지역아동 센터 확충 (4→8개소) |
공립형 지역아동 센터 확충 (8→9개소) | 공립형 지역아동 센터 확충 (8→10개소) | 공립형 지역아동 센터 확충 (10→11개소) | |
공동육아나눔터확대(10→14개소) | 공동육아나눔터 확대(14→16개소) | 공동육아나눔터 확대(16→17개소) | 공동육아나눔터 확대(17→18개소) | ||
2-4. 저출산 극복의 열쇠, 문화적 공감대 확산 | |||||
홍보캠페인 실시 | 언론홍보 등 3회 | 언론홍보 등 3회 | 언론홍보 등 4회 | 언론홍보 등 4회 | 언론홍보 등 5회 |
미래세대 인구 및 가족교육 | 수강인원4,000명 | 수강인원 4,000명 | 수강인원5,000명 | 수강인원5,000명 | 수강인원2,500명 |
미혼남녀 만남의 장 개최 | 행사개최 상/하반기 2회 |
행사개최 상/하반기 2회 |
행사개최 상/하반기 2회 |
행사개최 상/하반기 2회 |
행사개최 상반기 1회 |
2-5. 다자녀 가정 행복더하기 정책 추진 | |||||
출산장려금 지원 | 10,000명 지원 (하반기) |
19,000명 지원 | 19,000명 지원 | 19,000명 지원 | 10,000명 지원 (상반기) |
세자녀이상 가족진료비 지원 | 2,500가구 지원 (하반기) |
5,000가구 지원 | 2,000가구 지원 | 3,000가구 지원 | 1,500가구 지원 (상반기) |
다자녀가구 주택취득세 지원 |
20가구 지원 | 30가구 지원 | 30가구 지원 | 30가구 지원 | 20가구 지원 |
다복가정 축하대잔치 | 20가구 (하반기) |
50가구 (하반기) |
50가구 (하반기) |
70가구 (하반기) |
90가구(누계) (상반기) |
4차산업혁명 선도지역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3-1. 4차산업혁명 지원 전담기관 설립 | |||||
전담기관 설립 | 인력보강예산 확보 | 타당성검토 용역수행 인력보강 추진 | 관계기관 협의 및 검토 | 관계기관 협의 및 검토 | ・조례 및 관련 규정 제정 ・전담기관 운영 |
3-2. 4차산업혁명 선도 핵심인재 양성 | |||||
인공지능 전문가 양성 | 30명 | 70명 | 110명 | - | - |
블록체인 전문가 양성 | 36명 | 70명 | 106명 | 139명 | |
SW전문가 및 SW창의인재 교육 | 100명 | 200명 | 300명 | 400명 | 500명 |
특성화고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 | 32명 | 98명 | 164명 | 200명 | 230명 |
SW 중심대학육성 | 100명 | 200명 | 300명 | ||
ICT명품인재양성사업 | 40명 | 80명 | 120명 | ||
대학ICT 연구센터 육성 | 25명 | 50명 | |||
3-3. 해외석학・과학기술인・기업가 협의체 구성 | |||||
해외석학?과학기술인? 기업가협의체 구성 |
구성준비 | 협의체 구성 | 운영 | 운영 | 운영 |
3-4. 인공지능 거점센터 운영 | |||||
인공지능 핵심기술개발 | 기술개발:4건 | 기술개발:5건 | 기술개발:6건 | - | - |
인력양성 | 교 육:210명 | 교 육:210명 | 교 육:210명 | - | - |
AI적용기업 | 적용기업:3건 | 적용기업:4건 | 적용기업:4건 | - | - |
3-5. 경북 빅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 | |||||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 |
- | 데이터센터 시범구축 등 |
빅데이터 기반 공급기술 테스트베드 활용지원 등 |
- | - |
빅데이터인력양성 | - | 빅데이터 아카데미 운영 |
- | - | - |
기업적용 | 빅데이터활용 중소기업 우수 사례발굴 등 |
- | - | 빅데이터 공급 기술사업화등 |
빅데이터 공급 기술사업화등 |
3-6. 중소제조업 맞춤형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개발 보급 | |||||
시스템 개발보급 |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기획 |
국비확보 추진 | 국비확보 추진 | - | - |
스마트팩토리 보급 확산 | - | - | - | 시스템 보급 인프라 구축 |
시스템보급 |
3-7. 강소형 연구개발특구 지정・육성 | |||||
강소특구 지정 | 강소특구 지정 신청 | 강소특구 지정 | 연구소 기업 성장지원 | 연구소 기업 성장지원 | 연구소 기업 성장지원 |
3-8. 가속기 기반 차세대 배터리 파크 조성 | |||||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클러스터 |
관계기관 협의 | 세포막단백질 연구소 착공 |
세포막단백질 연구소 준공 |
||
가속기 기반 그린신소재산업 클러스터 |
기본계획 수립 | 관계기관 협의 | 세부계획 수립 및 부처 협의 |
R&D사업 추진 | 차세대 배터리 파크 착공 |
3-9. 양성자가속기 기반 입자빔시설 산업화 | |||||
지역기업 기술홍보 수요조사 실시설계용역 |
게획수립 및 기획보고서 작성 |
연구용역 시행 | 연구용역 완료 | 지역기업 기술 홍보 수요조사 |
기술평가 센터 실시 설계용역 시행 |
3-10. 한의약사업 육성 및 한의약시장 활성화 | |||||
한의약체험개발 천연물질확보 및 분양 등 산업화지원 |
2,000건 | 4,000건 | 6,000건 | 8,000건 | 10,000건(누계) |
3-11. 새로운 드론, 드론산업 거점 조성 | |||||
드론산업 거점 조성 |
기본계획 수립 관련 기업지원 |
드론공역확보 전문인력 양성 관련 기업지원 |
고성능 드론 R&D 등 전문인력 양성관련 기업지원 |
제조기업 유치 고성능 드론 R&D 등 전문인력 양성 |
제조기업 유치 고성능 드론 R&D 등 센터 구축 |
인력양성 | 60명 | 60명 | 60명 | 60명 | 60명 |
드론축구대회 | 계획수립 및 예산확보 |
대회 개최 | |||
3-12.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 조성 | |||||
블록체인산업 | 블록체인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체계 구축 |
블록체인 아카데미 운영 및 시범사업 추진 등 |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및 블록체인 융합 산업 발굴 등 |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및 블록체인 융합 산업 발굴 등 |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및 블록체인 융합 산업 발굴 등 |
3-13. 새로운 성장동력, 글로벌 해양기술 플랫폼 구축 | |||||
해양기술 실 해 역 시험평가 시스템구축 |
요구사양분석 대상선박조사 |
선박구입입찰 및 계약 | 시험평가원착공 선박건조착공 |
시험평가원준공 | 선박건조준공 및 실증테스트 |
해양신기술 인증센터 설립・유치 |
기획연구용역착수 | 인증센터 유치협의 | 인증센터현장적용실적 데이터 구축 |
인증센터현장적용실적 데이터 구축 |
인증센터 착공 |
수중드론 부품소재 기술개발 |
해수부중장기 계획(MOVE4.0) 반영 | 중앙정부예비 타당성 조사 |
사업착수 및 기술개발(22%) 연구센터착공 | 기술개발(21%) 연구센터준공 |
기술개발(11%) |
세계인이 찾아오는 관광명소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4-1. 23개 시군과 함께하는 문화관광공사 설립 | |||||
문화관광공사 조직개편 | 관광공사 명칭 변경 | 문화관광공사 출범식 | |||
기금조성 | 23개 시군 참여방식 이행 | 기금 조성 | 기금사업 선정 및 집행기금 조성 | 기금사업 선정및 집행기금 조성 | 기금사업 선정및 집행기금 조성 |
4-2. 천년고도 경주 본모습 재현 | |||||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 | 월성해자실시설계 금관총 보존전시공간 실시설계 |
월성해자복원착공 고분정보센터실설계 금관총보존전 공간 준공 |
고분정보센터착공 | 월성해자복원준공 | 고분정보센터건립 |
명활성 복원정비 | '19년 국비확보 | 복원 및 주변정비 공사 실시 |
복원 및 주변정비 공사 실시 |
복원 및 주변정비 공사 실시 |
복원 및 주변정비 공사 실시 |
라원조성 | '19년 국비확보 | 실시설계완료 및 착공 | 공사추진 | 공사추진 | 공사추진 |
4-3. 가야문화 관광 자원화 | |||||
가야고분군 세계문화 유산 등재 |
문화재청 -10개 지자체 MOU체결 |
'20년 세계유산 등재 신청 후보 선정 |
현지실사 준비 | 세계유산위원회 세계유산 등재 결정 |
|
가야문화 관광자원화 | 역사루트재현사업 공정률 95% |
대가야역사문화 길조성사업 착공 역사루트재현 사업 준공 |
대가야 역사문화길 조성 사업 준공 |
||
4-4. 경북 山野 - 아시아 알프스 프로젝트 | |||||
백두대간 산림관광벨트구축 | 산림레포츠단지 착공 | 산림관광 코스운영 1식 구곡트레킹길 기본계획수립 산림레포츠단지 공정률 50% |
산림관광 코스운영 1식 트레킹길 구축 공정률 30% 산림레포츠단지 준공 |
산림관광 코스운영 1식 트레킹길 구축 공정률 70% |
|
경북형 명품 전원마을 조성 | 타당성조사 | 설명회 행정절차수행 | 대상지 결정 | 전략·활성화 계획용역 발주 |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발주 |
농촌관광 활성화 기반구축 | 농촌체험휴양마을 기반시설확충 (5개소) |
농촌체험휴양마을 기반시설확충 (5개소) |
농촌체험휴양마을 기반시설확충 (5개소) |
농촌체험휴양마을 기반시설확충 (5개소) |
농촌체험휴양마을 기반시설확충 (5개소) |
경북山野 농촌테마공원조성 |
계획수립 | 공모선정 | 기본계획 용역중 |
기본계획 수립 | 실시설계 발주, 계약 |
4-5. 낙동강 글로벌 전통문화관광 거점화 | |||||
죽계구곡 관광자원화사업 | 실시설계 | 공사착공 | 공사준공 | ||
회룡포 힐링정원 테마공원 | 실시설계 | 공사착공 | 공사준공 | ||
가얏고 전수관 및 연수원 조성 |
실시설계 | 공사착공 | 공사준공 | ||
세계유교선비 문화공원 | 공정률 45% | 공정률 60% | 공정률 75% | 공정률 85% | 공사준공 |
한국문화테마파크 | 공정률 20% | 공정률 45% | 공정률 60% | 공정률 80% | 공사준공 |
4-6. ICT를 활용한 스마트 문화관광인프라 구축 | |||||
임청각 VR・AR 콘텐츠 |
콘텐츠 제작 | 체험관 구축 및 운영 | 체험관 운영 | 체험관 운영 | 체험관 운영 |
왕오천축국전 VR・AR 콘텐츠 |
콘텐츠 제작 | 체험관 구축 및 운영 | 체험관 운영 | 체험관 운영 | 체험관 운영 |
4-7. 전통문화 디지털 체험존 조성 | |||||
스마트 체험관 조성 |
관련 조례 정비 | 사업추진 계획 수립 및 연구용역실시 |
공모추진 | 체험관 조성 | 체험관 운영 |
4-8. 문화・여가공간 확충으로 삶의 질 향상 | |||||
창작뮤지컬 공연 | 창작뮤지컬 공연(8회) | 창작뮤지컬 공연(10회) | 창작뮤지컬 공연(13회) | 창작뮤지컬 공연(15회) | 창작뮤지컬 공연(15회) |
싱글벙글 은빛행복 나눔사업개최 |
음악회 개최 (23회) |
음악회 개최 (23회) |
음악회 개최 (23회) |
문화공연개최 (7회) |
문화공연개최 (4회) |
무비데이 운영 | 무비데이운영 (5회) | 무비데이운영 (10회) | 무비데이운영 (10회) | ||
경북도서관 개관 | 조례 등 제정 ISP 용역 등 |
인테리어 공사 정보시스템 하반기 개관 |
|||
4-9. 종가음식 진흥 지원 | |||||
경북 종가음식 체험관 건립 | - | 국립종가문화진흥원 기본구상 연구용역 |
경북종가음식체험관 건립 기본구상 연구용역 |
복합문화시설 건립계획 수립 | 복합문화시설 건립 기본계획 및 건축기획 용역 |
4-10. 청정 동해안 해양관광・레포츠 벨트 | |||||
형산강 마리나 계류장 | 중기지방재정계획 반영 |
기본 및 실시 설계용역 착수 |
착공 | 공정률 60% | 공정률 80% |
관성솔밭해변 특화개발 | 지방재정투자 심사 | 중기지방재정 계획 반영 |
기본 및 실시 설계용역 착수 |
착공 | 준공 |
해안누리 워라밸로드 | 지방재정투자 심사 | 기본 및 설계 용역 착수 |
착공 | 공정률 60% | 공정률 80% |
해양치유관광단지 | R&D용역 착수 | R&D용역 완료 | 기본 및 실시 설계용역 착수 |
생태자연도 등급완화 (1ㆍ3 → 2ㆍ3) |
착공 |
행남등대 스카이 힐링로드 | 사업 선정 | 기본 및 실시 설계용역 착수 |
소규모환경영향 평가 및 해역 이용 협의 |
착공 | 공정률 40% |
4-11. 즐거운 해양, 마리나항만 조성 | |||||
기반시설 (1단계) |
기반시설 계속 (공정률 80%) |
기반시설 완료 | |||
건축 및 계류시설 (2단계) |
건축 및 계류시설착공 | 공정률 60% | 건축 및 계류 시설 준공 전체 준공 |
도민과 함께하는 이웃사촌 복지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5-1. 초・중・고 의무급식 확대 | |||||
의무급식확대 | 읍면지역, 학생 100명이상 초중학교 대상 |
초중(특수)학교 전면의무급식 추진 |
고등학교 1학년 의무급식 추진 |
고등학교 2학년 의무급식 추진 |
고등학교 3학년 의무급식 추진 |
친환경 농산물 공급지원 확대 | 도내 975개교, 274천명 추진 지원단가 초등 400, 중학교 500, 고등 550 |
지원단가인상 초등 500, 중학교 600, 고등 650 |
지원단가인상 초등 600, 중학교 700, 고등 750 |
지원단가인상 초등 700, 중학교 800, 고등 850 |
지원단가인상 초등 800, 중학교 900, 고등 950 |
5-2. 차별없는 장애인 복지공동체 실현 | |||||
장애인 의료복지 지원체계 강화 |
장애인 건강검진센터 1개소 |
장애인 건강검진센터 1개소 |
지역장애인 보건의료센터 1개소 |
장애인 건강검진센터 1개소 |
- |
직업재활훈련 프로그램이용 인원 |
260명 | 790명 | 1,320명 | 1,850명 | 2,110명 |
장애인 종합수련원 | 설립추진 | 설립추진 | 설립추진 | 공립장애인 종합수련원 건립 타당성 조사용역 |
공립장애인 종합 수련원 건립 국비확보 협의체 구성 |
장애인 쉼터 및 권익 옹호 기관운영 | 2개소 운영 | (연례반복) | (연례반복) | (연례반복) | (연례반복) |
장애인 연금 수당 등 지원 | 818억 원 | 854억 원 | 893억 원 | 933억 원 | 976억 원 |
5-3. 찾아가는 3대 의료 서비스 | |||||
찾아가는 산부인과운영 | 950명 | 2,850명 | 4,050명 | 5,250명 | 5,850명 |
찾아가는 행복병원 | 5,000명 | 15,000명 | 18,500명 | 21,500명 | 23,000명 |
응급의료 전용 닥터헬기 이송 |
150명 | 450명 | 650명 | 850명 | 950명 |
5-4. 경북형 선도 치매관리제 도입 | |||||
경북형 치매극복 프로젝트 | 치매선별검사 - 80,000건 치매환자등록률 - 32% 치매서포터즈 - 4,000명 |
치매선별검사 - 80,000건 치매환자등록률 - 34% 치매서포터즈 - 8,000명 |
치매선별검사 - 80,000건 치매환자등록률 - 36% 치매서포터즈 - 8,000명 |
치매선별검사 - 80,000건 치매환자등록률 - 38% 치매서포터즈 - 8,000명 |
치매선별검사 - 40,000건 치매환자등록률 - 40% 치매서포터즈 - 4,000명 |
치매전문병동 시설?장비 확충 |
8개소시설 및 장비 심의 |
8개소시설 및 장비 사업완료 |
- | - | - |
5-5. 경로당 중심, 이웃사촌 행복공동체 육성 | |||||
경상북도 이웃사촌 복지지원센터 |
계획수립 | 1개소 | |||
시・군 이웃사촌 복지지원센터 |
계획수립 | 4개소 | 4개소 | 4개소 | 4개소 |
마을단위 특화마을 | 계획수립 | 준비 | 4개소 | 8개소 | 12개소 |
경로당 행복도우미(누계) | 계획수립 | 500명 | 1,000명 | 1,500명 | 2,000명 |
5-6. 할매할배 건강생활터 구축 | |||||
건강걷기코스개발ㆍ정비 | 50 | 50 | 50 | 50 | 50 |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 운영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노년기 정신건강 검진인원 | 2,500 | 2,500 | 2,500 | 2,500 | 2,500 |
돌봄 기본・종합서비스 | 14,000 | 28,000 | 28,000 | 28,000 | 14,000 |
단기가사서비스지원 | 39 | 78 | 78 | 78 | 39 |
사회관계 활성화사업 | 1 | 4 | 3 | 3 | 1 |
5-7. 경상북도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육성 지원 | |||||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 ’19.예산확보 기본계획수립 | 프로그램개발 및 운영(70명) |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70명) |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80명) |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80명) |
5-8. 다문화가정 한울타리 정책 추진 | |||||
결혼이민여성 인권강화 | 이주여성보호 시설 착공(1개소) |
이주여성보호 시설 완공(1개소) |
|||
다문화가족자녀 인재육성 | 이중언어 해외 캠프 (1회) 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 개최 |
이중언어 해외 캠프 (1회) 중도입국 다문화 가족 자녀 지원 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 개최 |
이중언어 해외 캠프 (2회) 중도입국 다문화 가족자녀 지원 외국인유학생 멘토링사업 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 개최 |
이중언어 해외 캠프 (2회) 중도입국 다문화 가족자녀 지원 외국인유학생 멘토링사업 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 개최 |
중도입국 다문화 가족자녀 지원 외국인유학생 멘토링사업 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 개최 |
결혼이민여성 사회진출 서비스 |
글로벌 레이디 인재양성 |
글로벌 레이디 인재양성 |
글로벌 레이디 인재양성 |
글로벌 레이디 인재양성 |
소득 걱정 없는 三촌(농산어촌)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6-1. 경북 농식품 유통전담기관 설립 | |||||
농식품 유통전담기관설립 | 기본계획수립 기관설립방안 결정 연구용역추진 |
조례개정 법인 설립인가 청사건립부지 확보 |
청사건립 착공 | 청사건립 기본계획 연구용역 | 청사건립 설계 및 예산확보 |
6-2. 경북형 농업복지모델 가동 | |||||
농작물재해 보험 확대 | 35,000 | 70,000 | 105,000 | 140,000 | 175,000 |
농어가 도우미 | 300 | 500 | 700 | 900 | 1,100 |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 | 15,000 | 30,000 | 45,000 | 60,000 | 75,000 |
6-3. 똑똑한 농업, 스마트팜 혁신밸리 구축 | |||||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 기본계획수립 부지확보 인허가 추진 |
실시설계 기반공사 | 핵심시설 연계시설 | 사업준공 → 1개소 조성 운영관리 |
정상추진 사후관리 |
6-4. 미래 농업인재 육성 「청년 창농의 메카 경북」 | |||||
농업계고 졸업생 창업비용지원 |
19명 | 40명 | 60명 | 80명 | 100명 |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 | 288명 | 655명 | 965명 | 1,250명 | 1,500명 |
청년농산업 청년지원센터운영 | 80명 | 160명 | 240명 | 320명 | 400명 |
농민사관학교 청년농업 교육과정운영 |
3개 | 4개 | 5개 | 6개 | 7개 |
6-5. 농업 6차산업화 전진기지 구축 | |||||
6차 산업화 지원 프로그램운영 |
185명 | 200 | 215 | 235 | 250 |
6차산업경쟁력 강화지원 | 50개소 | 60 | 70 | 80 | 90 |
농산물 종합 가공센터 구축 | 11개소 | 14 | 15 | 17 | |
농촌여성 농식품 창업지원 | 92개소 | 99 | 114 | 134 | 164 |
농촌교육농장 운영 | 71개소 | 81 | 91 | 106 | 121 |
6-6. 일손 늘어나는 「경북형 두레공동체」육성 | |||||
영농지원 공동경영체 | 5개소 | 5개소 | 5개소 | 5개소 | 5개소 |
농촌인력 지원센터 | 8개소 | 10개소 | 11개소 | 12개소 | 13개소 |
농기계임대 사업소 | 4개소 | 2개소 | 2개소 | 2개소 | 2개소 |
6-7. 첨단농업 기술개발, 지식기반 스마트 농업 실현 | |||||
농업 빅데이터 수집 및 기술개발 | 20농가 | 40농가 | 60농가 | 80농가 | 100농가 |
ICT 활용 병해충 예보시스템 구축 및 농가 보급 | 3종 | 6종 | 9종 | 12종 | 12종 |
신기술보급 스마트팜 시범사업 추진 |
310호 | 370호 | 440호 | 510호 | 600호 |
권역별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 운영 |
700명 | 1,050명 | 1,400명 | 1,750명 | 2,000명 |
6-8. 2030세대 귀농인 안정정책 프로그램 | |||||
귀농인의 집리모델링 지원 | 10개소 지원 | 15개소 지원 | 20개소 지원 | 25개소 지원 | 30개소 지원 |
귀농인 정착지원 | 120개소 지원 | 240개소 지원 | 360개소 지원 | 480개소 지원 | 600개소 지원 |
귀농인 농어촌 진흥기금 | 25개소 지원 | 50개소 지원 | 75개소 지원 | 100개소 지원 | 120개소 지원 |
6-9. 고부가 농식품산업 및 수출농업 육성 | |||||
농식품가공업체 육성 | 3개소 | 13개소 | 23개소 | 33개소 | 40개소 |
농식품 수출량 | 5억불 | 5.3억불 | 5.5억불 | 6억불 | 연말집계 |
6-10. 경북형 골드시드 프로젝트 | |||||
종자산업기반구축 | 2개소 | 3개소 | 3개소 | 6개소 | 7개소 |
6-11. 미래농업 블루오션, 곤충산업 활성화 | |||||
유용곤충 산업기반조성 | 7개소 | 7개소 | 7개소 | 7개소 | 7개소 |
양봉농가 경쟁력강화 | 5종 | 5종 | 5종 | 5종 | 5종 |
6-12. 축산 1번지 「경북형 생태 축산단지」조성 | |||||
산지생태축산농장 | - | 1개소 초지조성 및 기계장비지원 등 기반시설 및 관광상품 개발 등 |
- | 1개소 초지조성 및 기계장비지원 등 기반시설 및 관광상품 개발 등 |
1개소 초지조성 및 기계장비지원 등 기반시설 및 관광상품 개발 등 |
6-13.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축산 | |||||
경북형 축산 스마트팜 표준모델 |
경북형 표준모델 개발 등 |
경북형 표준모델 개발 등 |
경북형 표준모델 개발 등 |
||
IoT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 IoT 가축관리 체계 구축 |
IoT 가축관리 체계 구축 |
IoT 가축관리 체계 구축 |
||
6-14. 돈이 되는 산림 「임산물 6차산업화 단지」조성 | |||||
호두 클러스터조성 | 임산물생산기반조성 | 가공,유통,체험 시설 조성 (조성완료) | |||
산림작물생산단지조성 | 산림작물생산단지 및 복합경영단지 신규 조성 |
산림작물생산단지 및 복합경영단지 신규 조성 |
산림작물생산단지 및 복합경영단지 신규 조성 |
산림작물생산단지 및 복합경영단지 신규 조성 |
산림작물생산단지 및 복합경영단지 신규 조성 |
임산버섯클러스터조성 | 임산버섯연구 센터 설계용역 톱밥배지 시설 조성완료 |
임산버섯연구 센터 건립 유통센터 조성 20년 산림청 공모사업 신청 |
임산버섯연구 센터 건립 완료 표고버섯재배 단지 조성 21년 산림청 공모사업 신청 |
표고버섯재배 단지 조성 22년 산림청 공모사업 신청 |
표고버섯재배 단지 조성 |
6-15. 첨단 가공산업, 살맛나는 어촌 만들기 | |||||
수산물 산지가공시설 | 가공공장 4개소 지원 |
가공공장 4개소 지원 |
가공공장 4개소 지원 |
가공공장 4개소 지원 |
가공공장 4개소 지원 |
해양수산 복합센터건립 | 실시설계 완료 | 착공 | 공정률 30% | 공정률 50% | 공정률 80% |
수산물유통복합센터건립 | 실시설계착수 | 실시설계완료 착공 |
공정률 20% | 공정률 40% |
안심하고 생활하는 365일 안전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7-1. 국립 지진방재연구원 설립 | |||||
국립 지진방재 연구원 설립 | 예산확보를 위한 중앙부처 건의 |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시행 |
중앙부처 기본구상(안) 제시 및 사업건의 |
지진방재연구원 유치활동 및 전략모색 |
중앙부처 국비 예산 편성건의 |
7-2. 도시 활력회복 경북형 도시재생 추진 | |||||
도시재생 | 8개소 | 14개소 | 20개소 | 26개소 | 32개소 |
흥해특별재생 | - | 1개소 | |||
7-3.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재해 대응 강화 | |||||
소방인력 확충 | 247명 | 635명(388명) | 1,029명(394명) | 1,413명(384명) | 1,648명(235명) |
소방차량 보강 | 50대 | 100대(50대) | 205대(105대) | 310대(105대) | 400대(90대) |
소방장비 보강 | 20종 600점 | 65종 2,300점 (45종 1,700점) |
105종 4,000점 (40종 1,700점) |
150종 5,750점 (45종 1,750점) |
195종 7,500점 (40종 1,750점) |
소방훈련탑 | 1개소 | 3개소 (2개소) | 5개소 (2개소) | 7개소 (2개소) | |
소방관 정신건강 치료・관리 | 205명 | 410명 (205명) | 615명 (205명) | 820명 (205명) | |
긴급구조훈련 | 144회 | 432회 (288회) | 720회 (288회) | 1,008회 (288회) | 1,152회 (144회) |
구급지도의사 운영 | 본부 12회 소방서 216회 |
본부 36회(24회) 소방서 648회 (432회) |
본부 60회(24회) 소방서 1,080회 (432회) |
본부 84회(24회) 소방서 1,512회 (432회) |
본부 96회(12회) 소방서 1,728회 (216회) |
7-4. 범죄예방으로 생활안전망 구축 | |||||
여성아동안심귀가거리 조성 | 21 | 20 | 20 | 20 | 20 |
CCTV설치 | ? | 272 | 200 | 200 | 200 |
7-5. 교통사고 줄이기 교통안전대책 마련 | |||||
사람중심 교통안전교육 | 45,000명 | 70,000명 | 70,000명 | 70,000명 | 35,000명 |
무단횡단 방지펜스 보급사업 | 계획 수립 | 2.8㎞ | 2.8㎞ | 2.8㎞ | 1.4㎞ |
7-6. 주민과의 소통으로 「사드배치지역 현안사업」추진 | |||||
사드배치지역 현안사업 | 지역주민 소통강화 | 현안사업 국비확보 | 현안사업 국비확보 | 현안사업 국비확보 | 현안사업 국비확보 |
7-7. 대기오염 늘어나는 미세먼지 유발차단 | |||||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 | 10대 | 10대 | 5대 | 5대 | 5대 |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 3,765대 | 2,500대 | 3,333대 | 3,333대 | 3,333대 |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 959대 | 600대 | 666대 | 666대 | 666대 |
어린이통학차량 LPG전환 | 100대 | 100대 | 100대 | 100대 | 100대 |
빠르고 가까워진 사통팔달 경부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8-1. 중부내륙 문경~점촌선 추진 | |||||
문경・경북선건설사업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지구선정건의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지구 선정 지속 건의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지구 선정 지속 건의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지구 선정 지속 건의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지구 선정 지속 건의 |
8-2. 남부내률고속철도(김천~거제)건설사업 | |||||
남부내륙고속철도 | 민자적격성 검토 중 민자사업 추진이 어려울 경우 재정사 업으로 추진 |
재정사업으로 선정시 예타신청 |
재정사업으로 선정시 예타건의 및 추진 |
예타추진 기본계획수립 |
기본계획수립 추진 |
8-3. 동해중부선철도(포항~삼척) 건설사업 | |||||
동해중부선철도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전액확보 |
8-4. 중앙선 복선전철화(도담~영천) 건설사업 | |||||
중앙선(도담~영천)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전액확보 |
8-5. 중부내륙 단선철도(이천~문경) 건설사업 | |||||
중부내륙선(이천~문경)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8-6. 영천~신경주 복선전철화 건설사업 | |||||
중부선(영천~신경주)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완공 시운전 및 개통 | |
8-7. 대구선 복선전철(동대구~영천) 건설사업 | |||||
대구선(동대구~영천)철도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건설사업 추진 국비확보 |
완공 시운전 및 개통 | ||
8-8. 중부권 동서횡단철도(서산~천안~점촌~울진) 건설사업 | |||||
중부권 동서횡단 철도 |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착수 |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건의 | 지속건의 | 사업추진 건의 |
8-9. 포항~영덕~삼척 고속도로 건설 추진 | |||||
포항~영덕~삼척 고속도로 | 포항~영덕 공정률 15% 영덕~삼척 기본조사용역 건의 |
포항~영덕 공정률 35% | 포항~영덕 공정률 55% | 포항~영덕 공정률 75% | 포항~영덕 공정률 85% |
8-10. 무주~대구 고속도로 건설 추진 | |||||
무주~대구 고속도로 | 기본조사용역 건의 (국토부) |
기본조사용역 건의 (국토부) |
사전절차 추진 | 사전절차 추진 | 사전절차 추진 |
8-11. 섬에 열린 하늘길 울릉공항 건설 | |||||
울릉공항건설 | 총사업비 확정 | 낙찰자 선정 및 착공 | 공사추진 (공정율 20%) |
공사추진 (공정율 40%) |
공사추진 (공정율 55%) |
8-12. 환동해 관문 영일만항 북방물류 거점항 육성 | |||||
항만배후단지 1-1단계 (535천㎡) |
준공 | ||||
항만배후단지 1-2단계 (201천㎡) |
부분매립완료 (88천㎡) | 잔여매립 착수 (113천㎡) |
잔여매립 계속 (공정률 70%) |
전체매립완료 (201천㎡) |
|
8-13. 크루즈관광시대 영일만항 국제여객부두 건설 | |||||
부지매립 및 기초공사 | 부지매립 및 기초공사 계속 (공정률 70%) |
부지매립 및 기초공사 완료 |
|||
상부시설 | - | 상부시설 착공 (공정률 40%) |
상부시설 완료 국제여객부두 준공 |
||
국제크루즈 신규항로개설 | - | - | - | 신규항로 개설을 위한 관계 기관 협의 |
크루즈 및 페리 시범운항(1회) |
8-14.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추진 및 연계교통망 구축 |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 이전후보지 선정 등 | 이전사업비 협의 주민투표 실시 |
통합신공항 기본 계획 용역 착수 광역교통망 계획 수립 용역 착수 |
통합신공항 기본 계획 용역 완료 광역교통망 계획 수립 용역 완료 |
통합신공항 실시 계획 용역 착수 광역교통망 예비 타당성 조사대상 신청 |
8-15. 지역경제 살리는 길 「지역공항 활성화」 | |||||
포항공항 활성화 | 지방공항 활성화 협의체 구성 |
공항활성화 위한 국토부 협의 |
포항공항 공항 명칭관련 용역 수행 |
명칭변경 관련 관계기관 협의 |
포항공항 명칭변경 |
지역항공사 설립 | 지역항공사 설립용역 추진 | 지역항공사 설립 관련 MOU체결 |
골고루 성장하는 균형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9-1. 동해안권, 융합에너지 클러스터 | |||||
원자력 안전 및 해체산업 생태계 구축 |
양성원 건립 (진도 60%), 방재체계 구축 MOU 체결 |
양성원 준공 방사능 지방 측정소 설치 |
원전 해체산업 인재육성(100명) 원자력 안전 협력체계 구축 |
원전 해체산업 인재육성(100명) 방사선 감시 시스템 확충 |
원자력 안전 감시시스템 운영 및 해체산업 인재육성(100명) |
에너지클러스터조성 | 해상풍력개발 사업협약체결 에너지산업융복합 단지용역 | 에너지산업단지 조성계획 수립 풍력발전단지 환경조사 | 풍력단지설계 완료 에너지산업단지 지정 건의 |
발전단지 지정을 위한 부처협의 |
단지지정 민자유치 |
9-2. 서부권, ICT 프론티어 벨트 조성 | |||||
5G 테스트베드구축 | - | 상용기술 연구 개발 공모신청 |
장비구축 | 실내 테스트베드 (실드룸) |
실외 테스트베드 (거점환경 조성) |
능동형 스마트 리빙케어 산업 육성 |
- | 예타기획연구 |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 세부사업 추진 | 기술개발 산업 혁신지원 센터 건축 |
드론산업육성 | 테스트베드 구축 | 실내외 평가기법 개발 | 기상청 날씨연동 기술개발 | DB시스템 개발 | 지상국 개발 및 제품화 |
9-3. 남부권, 첨단소재 클러스터 조성 | |||||
탄소산업클러스터 조성 | 부지매입 실시설계 | 실시설계완료 | 공사추진 | 센터 준공(2) 센터 운영 기술개발 |
센터 운영 기술개발 |
메디컬 융합소재 산업활성화 | 건축공사 추진 | 센터 준공(1) 기업입주 | 기업입주 | 식약처인증 획득 | |
9-4. 북부권, 바이오・소재 벨트 조성 | |||||
알루미늄 융복합부품 시생산기반구축 |
센터준공 | 장비도입 | 장비구축 완료 | ||
백신상용화 기술지원기반 시스템구축 |
국비확보 | 건축설계 | 센터착공 | 센터준공 | 센터구축 기술개발지원 |
하이테크베어링 산업화 기반구축 |
센터준공 | 장비도입 | 장비구축 완료 | ||
9-5.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 | |||||
국가혁신 융복합단지 지구지정 |
지구지정 (1단계) | 지구확대지정 (2단계) | |||
단지 내 대표산업지정 | 대표산업 선정 및 육성 (1단계) | 대표산업 육성 및 성과 확산 (2단계) | |||
과제수행기업지원 | 1단계 1차년도 연차계획수립 비R&D과제 계획 수립 |
1단계 2차년도 연차계획수립 비R&D과제 계획수립 |
1단계 3차년도 연차계획수립 비R&D과제 계획수립 |
2단계 1차년도 연차계획수립 비R&D과제 계획 수립 |
2단계 2차년도 연차계획수립 비R&D과제 계획 수립 |
9-6. 경북도청신도시 활성화 | |||||
도청신도시 2단계 개발사업 | 12% | 20% | 40% | 57% | 70% |
도청신도시 진입도로망 확충 | 10% | 40% | 60% | 90% | 100% |
9-7. 환동해 바다시대 「동부청사 조기 건립」 | |||||
신청사 건립 | 설계용역 | 설계용역 | 공사 착공 | 공사 실시 | 준공 청사이전 |
자긍심이 높아지는 감동 경북
공 약 명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10-1. 독도영토주권 강화 「독도지키기 프로젝트」 | |||||
독도영토주권강화 및 교육지원 |
독도영토주권 공고화 국비 예산확보 | 독도영토주권 공고화 국비 예산확보 | 독도영토주권 공고화 국비 예산확보 | 독도홍보버스 운영(25회) 및 보도자료(35회) | 독도홍보버스 운영(25회) 및 보도자료(35회) |
독도홍보버스 운영(25회) 및 보도자료(35회) | 독도홍보버스 운영(25회) 및 보도자료(35회) | 독도홍보버스 운영(25회) 및 보도자료(35회) | 독도홍보버스 운영(25회) 및 보도자료(35회) | 독도홍보버스 운영(25회) 및 보도자료(35회) | |
국내체류 외국인 독도현장교육 (4회)및 중점학교(5개교) | 국내체류 외국인 독도현장교육 (4회) 및 중점학교(5개교) | 국내체류외국인 독도현장교육 (4회)및 중점학교(5개교) | 국내체류외국인 독도현장교육 (4회)및 중점학교(5개교) | 국내체류외국인 독도현장교육 (4회)및 중점학교(5개교) | |
10-2. 경북 4대 정신의 확산 및 관광자원화 기반 구축 | |||||
4대 정신 세계화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경북정신문화 체험 업무협약 체결 (도내 5개 대학) |
외국인 대상 4대 정신문화 체험 연수(1회) | 외국인 대상 4대 정신문화 체험 연수(1회) | 외국인 대상 4대 정신문화 체험 연수(1회) | 외국인 대상 4대 정신문화 체험 연수(1회) |
4대정신 관광자원화 | 4대정신 확산 및 사업화방안 연구용역 |
경북지역 4대 정신 발현지 재조명 및 홍보콘텐츠 제작(1식) |
경북지역 4대 정신 발현지 재조명 및 홍보콘텐츠 제작(1식) |
경북지역 4대 정신 발현지 재조명 및 홍보콘텐츠 제작(1식) |
경북지역 4대 정신 발현지 재조명 및 홍보콘텐츠 제작(1식) |
경북 4대 정신의 개발 및 확산 |
정체성 인물, 스토리, 유적지 등 선양(1건) |
정체성 인물, 스토리, 유적지 등 선양(1건) |
정체성 인물, 스토리, 유적지 등 선양(1건) |
정체성 인물, 스토리, 유적지 등 선양(1건) |
정체성 인물, 스토리, 유적지 등 선양(1건) |
10-3. 새마을운동 세계브랜드화 | |||||
수원국맞춤형 새마을시범마을조성 |
저개발국 28개 마을 | 시범마을조성 계속 추진 |
시범마을조성 계속 추진 |
시범마을조성 계속 추진 |
시범마을조성 계속 추진 |
글로벌새마을전문가양성 및외국인지도자육성 |
60명 | 100명 | 100명 | 100명 | 60명 |
국제기구등해외협력 기반구축 |
2회 | 5회 | 5회 | 5회 | 3회 |
10-4. 손잡고 미래로「대구・경북 한뿌리 상생협력」 | |||||
공동위원장 격상 | 조례개정 | 공동위원장 격상 (경북도지사・대구시장) |
|||
상생협력과제발굴 | 생협력과제발굴 (2건) | 생협력과제발굴 (2건) | 생협력과제발굴 (2건) | 생협력과제발굴 (2건) | 생협력과제발굴 (2건) |
10-5. 고향사랑 경북사랑 나눔 | |||||
고향사랑경북사랑 나눔 캠페인 |
기본계획수립 및 기관업무협약체결 |
12회 | 12회 | 12회 | 12회 |
10-6.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 |||||
지역평생교육활성화지원 | 23개시군대상 공모사업 추진 |
23개시군대상 공모사업 추진 |
23개시군대상 공모사업 추진 |
23개시군대상 공모사업 추진 |
23개시군대상 공모사업 추진 |
성인문해교육지원 | 23개시군 성인 문해교육 추진 |
23개시군 성인 문해교육 추진 |
23개시군 성인 문해교육 추진 |
23개시군 성인 문해교육 추진 |
23개시군 성인 문해교육 추진 |
10-7. 현장 중심, 혁신 행정 | |||||
찾아가는현장행정추진 | 1건 | 4건 | 4건 | 4건 | 2건 |
현장중심인력배치 | 278명 증원 (일반 31명,소방 247) |
428명 증원 (일반 40,소방 388) |
417명 증원 (일반 23,소방 394) |
414명 증원 (일반 30,소방 384) |
30명 증원 (일반 30명) |
경상북도 SNS 운영활성화 | 70,000명 | 76,000명 | 85,000명 | 92,000명 | 100,000명 |
SNS기자단 운영 | 180건 | 360건 | 360건 | 360건 | 18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