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Archive

영상기록

22.05.03 아시아 지역 암각화 특별전

2022.05.12

경상북도는 한국국학진흥원과 공동으로 3일부터 오는 23일까지 도청 동락관 제2전시실에서 아시아 암각화 특별전 ‘인류 여명기, 한반도 문명의 원류를 찾아서’ 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경북을 비롯해 러시아, 몽골지역 암각화의 실물 이미지와 탁본 작품 70여 점을 관람할 수 있다.

전시의 모든 암각화 탁본과 실물 사진은 암각화 전문가 김호석 작가의 작품이며 전시를 통해 인류 여명기에 한반도 문명의 생활양식과 사유세계를 엿볼 수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 암각화와의 비교를 통해 경북 소재 암각화만의 독특한 상징체계를 조명하고, 한국문화 원형을 탐구함으로써 세계 문화유산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암각화는 문자가 없던 시기에 인류의 사유세계와 생활양식을 다양한 문양의 소재로 표현한 그림이다.

바위그림은 선사시대의 사상, 문화, 예술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근래 고고학이나 역사학 분야에서 매우 주목 받았고,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바위그림의 회화적 형상을 통해 인류문명의 기원과 흐름, 그리고 당시 시공(時空)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바위그림의 주제는 자연물, 동물, 사람 등이 주 대상이며 사실적인 형상과 추상적인 형상이 있다.

묘사 방법은 원, 선, 면 등이며, 이를 돌이나 특수한 도구를 사용해 새겼다.

바위 면의 방향은 주로 동남향인데, 이는 태양 동선(動線)을 중요시 한 것에서 비롯됐다.

위치는 물가나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오지(奧地)에 주로 많은데, 이는 신에 대한 기도처로서 특정한 신앙의식이 있었다.

이번 전시는 크게 3부로 구성돼 있다.

1부는 우리나라 현존 암각화중 가장 많은 개채수를 가지고 있는 경북지역의 바위그림, 2부는 러시아 지역, 3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몽골지역 암각화를 전시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암각화는 전남 여수, 전북 남원의 유적을 제외하면 모두 영남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1970년 울주 천전리를 시작으로 1971년 고령 양전동 암각화, 포항, 경주, 안동, 영천 영주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경북지역 암각화는 호랑이, 표범 등의 맹수류와 사슴류 산양, 멧돼지 등 육지 동물과, 해양동물로 고래, 바다 거북 등이 있으며 아울러 기하 추상형과 변형된 사다리꼴형을 기본으로 단순화된 도형들도 등장하는 등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분포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