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 지정 : 국보
  • 한자명 : 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輪藏臺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 시대 : 조선
  • 지정일 : 2019-12-02
  • 소재지 :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정면 3칸(間)이고 측면은 2칸인 맞배집 건축이며, 측면의 정면에 대한 비례(比例)는 약 1/2에 불과하다. 정면의 3칸은 기둥사이를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분할(分割)하고 각각 두짝 열개의 빗살문을 달았다. 그 위에 처마 밑에는 내외이출목(內外二出目)의 공포를 배치하였는데 각 주간(柱間)마다 공간포(空間包)는 두개씩이다. 측면은 지붕이 맞배지붕으로 되었으므로 공포는 배열(配列)되지 않았고 또 박공(朴工)에는 방풍판(防風板)도 달지 않았다. 이와 같이 다포(多包)집 계통의 건축에서 맞배지붕의 형식을 취한 건물은 그리 많지 않다. 건물 측면의 폭을 좁게 잡았으므로 옥개(屋蓋)의 가구(架構)방식(方式)은 간단하며 대들보는 앞뒤 기둥위의 공포에 걸치게 하고 그 위에는 동자주형(童子柱形)의 대공(台工)을 세워서 종량(宗樑)을 받쳤다. 건물의 측면은 중앙에 고주(高柱) 하나를 세워서 대들보의 한복판을 받치게 하였다. 내부는 마루를 깔았으며, 중앙 후면에 불단(佛壇)이 있고, 그 좌우에 회륜식(廻輪式)의 윤장(輪藏)이 한개씩 설비되어 있다. 이 윤장은 우리나라에서는 이곳 이외에서는 볼 수 없는 희귀한 것이다. 사적기(事蹟記)에 의하면 대장전은 조선(朝鮮) 현종(顯宗) 11년에 중수되었다고 하며, 건물의 구조 형식도 조선 중기(中期)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학술자료

  • 1.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교육연구원
  • 2.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3. 文化財大觀 : 寶物篇 : 木造(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동현 외 9명 / 발행처 : 문화재청
  • 4. 醴泉郡誌(200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예천군지 편찬위원회 / 발행처 : 예천군
  • 5. 한국의 사찰(200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대한불교진흥원 출판부 / 발행처 : 대한불교진흥원
  • 6. 건축문화재 해체수리 자료집 : 사찰건축편(2010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김덕문,강현,최유진,서은성,최맹식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7. 醴泉 龍門寺 大藏殿 輪藏臺 꽃살문에 관한 硏究(2010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민자영 / 발행처 : 안동대학교 대학원
  • 8. 예천(醴泉) 용문사(龍門寺) 대장전(大藏殿)과 윤장대(輪藏臺)(2012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오세덕 / 발행처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9.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10. 경장건축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 예천 용문사 윤장대 및 대장전을 중심으로(2016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정연호 / 발행처 : 경일대학교 대학원
  • 11. 일제강점기 경북 예천지역의 사찰문화재(202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최은령 / 발행처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