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축산
양잠의 정의
양잠의 정의
유래와 역사
- 누에치기의 발상지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4,650여 년 전 중국의 고서 《잠경(蠶經)》에 황제 헌원씨의 원비 서능씨가 누에를 길러 옷을 지었다는 기록이 존재
- 누에는 비단을 생산하기 때문에 《하늘이 준 벌레》라 하여 하늘 천(天) 밑에 있는 벌레 충(蟲)으로 누에 잠(蠶)자의 약자(蠶)로 표기
- 우리나라의 《단군세기》에 4,300여 년전 누에를 길렀다는 기록이 존재하여 삼한시대 이전에 중국에서 전파된 것으로 추정
- 고려 헌종 19년(서기 1029년)에는 1가구당 뽕나무 묘목을 밭머리에 15~20 그루씩 심으라고 명령한 기록이 있음
- 조선 태종때부터 왕비가 궁궐에서 직접 뽕잎을 따고 누에를 치는《친잠례(親蠶禮)》의식을 거행하여 양잠을 장려
- 조선 세조때는 가구별 뽕나무 심는 양과 뽕나무 베었을 때의 처벌기준을 담은《종상법》을 제정하였고, 잠업기술서인《잠서주해》편찬하여 보급
- 1900년부터는 국가에서 누에씨를 생산하여 농가에 보급
- 우리나라 양잠산업은 1970년대 중반까지 전성기를 누리며 주요산업 중 하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 이후 급속히 쇠퇴
- 1962년부터 수출증진과 소득증대 사업의 일환으로 《잠업증산 5개년 계획》을 15년간 추진하여 비약적으로 발전
- 1970년대 양잠수출액은 27,000만 달러 정도
- 1980년대 중반 이후 경제발전과 중국산 저가 생사의 수입과 함께 노동집약적 산업이라는 약점으로 인하여 급속히 쇠태
- 1999년에 잠업법이 폐지되고 잠업 관련 조직 및 기구도 축소
- 대표적 사양산업으로 평가되던 양잠산업이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새로운산업으로 변신
- 1990년 중반부터는 건조누에, 수번데기, 동충하초, 오디 등을 생산하는 기능성 양잠산업으로 전환
- 2009년 5월 제정된 《기능성양잠산업육성 및 지원법》을 통해 양잠산업의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
- 단순히 실크를 생산v하는데 활용했던 누에를 기능성 식품, 의약품 및 의료용 신체조직, 화장품 등으로 개발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
- 오디, 누에의 기능성 성분을 활용한 식품, 컬러누에, 실크단백질을 이용한 인공 인체조직(고막, 뼈) 개발 등
부서별
시군청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