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통계정보시스템은 도민의 생활과 관련된 경상북도 사회지표나 일자리, 창업, 귀농 등 농업, 부동산, 안동예천 지역개발, 화학물 안전, 장래인구 같은 정책분야에서 경북이 직면한 중요한 문제를 이해하고 시각화하는 사이트입니다.
사이트 이용자에게는 경북에 대한 정보를 확산하고 정책 입안자에게 의사 결정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통계정보시스템은 도와 23개 시군에 대한 지역정보와 주민들이 살고 있는 삶의 여건을 챠트와 무엇보다도 지도를 통해서 제공함으로써 숫자의 생활 구체성을 확보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통계숫자가 구체적 삶의 지표로 전환되기까지 손쉽게 전환되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통계정보시스템은 데이터의 구성과 결합, 즉 이야기 통해서 숫자가 주민들의 삶에 문제의식을 던지도록 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도와 23개 시군 뿐만 아니라 지역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 교수, 대학원생 등 지역연구자가 참여하는 사이트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데이터의 시각화는 오픈 소스 시각화 엔진인 D3.js를 기반으로 구현되었습니다
작업을 기회로 오픈소스 시각화도구와 그 활용에 대해 많은 연구와 작업이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콘텐츠 종류 | 서비스 내용 |
---|---|
사회지표 | 경상북도 사회지표 10개 부문(인구, 가구와 가족, 건강, 교육, 노동, 소득소비 및 자산, 지역산업, 주거와 교통, 환경, 안전, 여가와 문화, 사회통합) 144개의 통계지표 제공 |
정책통계(주요통계) | 인구, 주택, 지역경제, 경기동향, 고용, 물가, 복지 등 도정 현안과 관련된 주요지표를 수록 |
정책통계(창업통계) | 사업체조사를 사용하여 창업현황과 창업율, 폐업율, 이동율을 통계화하여 제공 |
정책통계(농업) | 농가소득, 귀농현황 등 농업관련 자료를 수록 |
정책통계(장래인구추계) | 2015~2035까지 20년간 도 및 시군별 출생, 사망, 인구이동 정보를 제공하고 도 및 시군별 인구피라미드 등 챠트정보를 제공 |
정책통계(산업별 투자효과분석) | 한국은행의 2013년 다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업종별 투자시 유발되는 생산액, 부가가치, 취업자수 등 유발효과를 시각화하여 제공 |
통계웹진 | 이야기를 활용하여 통계를 활용하여 다양한 주제별 통계 및 통계분석자료를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