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보도자료

경북도, 과기부 ‘대학ICT연구센터 지원사업’ 공모 선정
부서명
메타버스과학국 과학기술과
전화번호
054-880-2433
 
 
작성자
윤동욱
작성일
2024-06-26 08:58:20
조회수
68
- 연구센터 3개소 선정, AI·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고급 연구인력 양성 -
- AI기반 인간한계 극복, 스마트군수, 무인이동체 관련 연구개발국비 187억원 확보 -
경상북도는 포항공과대학교와 국립금오공과대학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대학ICT연구센터 지원사업’공모에서 선정돼 국비 187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대학ICT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정보통신 분야 유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도전적이며 창의적인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대학 연구센터를 선정해 혁신 성장을 견인할 석·박사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에 선정된 연구센터는 일반형 창의융합(소프트웨어) 분야의 포항공대 인간 인지·지능 증강 연구센터, 일반형 창의융합(국방융합) 분야의 금오공대 스마트 군수혁신 융합연구센터, 지역 소형 자유 공모 분야의 금오공대 초연결 기반 협력형 자율 무인이동체 연구센터 등이다.

이들 연구센터는 2031년까지 8년 동안 일반형 과제는 75억원, 지역 소형 과제는 37억원의 국비를 각각 지원받는다.

포항공대 인간 인지·지능 증강 연구센터(센터장 최승문 교수)는 총91억원의 사업비(국비 75억, 지방비 7억, 대학 등 9억)를 투입해 AI기술 기반 소프트웨어 분야 석·박사급 인재를 320명 이상 양성한다.

연구센터는 주식회사 닷, 뷰노, 스트라드비젼, 폴라리스 3D, 퓨리오사AI 등의 기업과 함께 ▴슈퍼 휴먼비전(인간 시각 능력 초월) 기술 ▴언어 및 감성 지능 보조와 증강을 위한 거대언어모델 응용 기술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촉각 한글 시스템 기술 ▴초저지연·저전력 웨어러블 AI시스템 설계 기술 등을 개발한다.

금오공대 스마트 군수혁신 융합연구센터(센터장 이재민 교수)는 총95억원의 사업비(국비 75억, 지방비 7억, 대학 등 13억)를 투입해 스마트군수 분야 석·박사급 인재를 320명 이상 양성한다.

또,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LIG시스템, 비엠텍시스템, 엔에스랩, 노바소프트, 에브리심 등 기업과의 협업으로 ▴위변조 방지 스마트 계약서 활용 군수 물류 평가 및 정비 성적 시스템 전자화 및 표준화 기술 ▴군수 디지털 트윈 요소 기술 ▴무인수색차량 상태기반 정비 개념 적용 기술 ▴항공MRO 물류 효율화 기술 ▴스마트 군수 특화 로봇을 위한 자율 이송 및 협업 기술 ▴AI-강화 다차원 이미징을 통한 물류 최적화 및 스마트 예측 정비 기술 등을 개발한다.

지역 소형 과제로 선정된 금오공대 초연결 기반 협력형 자율 무인이동체 연구센터(센터장 신수용 교수)는 총45억원의 사업비(국비 37억, 지방비 4억, 대학 등 4억)로 석·박사급 인재를 160명 이상 양성한다.

이와 함께, 센터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구미전자정보기술원, 한국로봇융합연구원, LIG넥스원, 니나노컴퍼니, 헥스하이브, 로봇트리, 주원로보틱스, 위고로보틱스, 성남씨엔씨 등과 함께 ▴협력·적응형 무인 이동체 모듈형 로봇 기술 ▴무인이동체 초연결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 ▴이종(異種)·다중 무인 이동체 간 협력·능동형 인지 기술을 개발한다.

대학ICT연구센터는 주관 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업체 참여의 공동연구 수행을 통해 기초연구가 응용·개발연구 단계까지 이어지도록 설계된 만큼, 선정된 3개소의 연구센터는 고급 연구 인력 양성은 물론이고 경북도 지역 산업의 혁신성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우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대학ICT연구센터 공모 선정은 지역대학의 우수한 연구개발 역량 및 산학협력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산업의 혁신성장을 이끌 연구 사업의 발굴과 육성을 위해 경북도의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전화번호 :
 054-880-4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