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1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1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2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3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4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5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6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7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8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9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_10
이전 다음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 지정 : 보물
  • 한자명 : 義城 氷山寺址 五層石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이 탑(塔)은 일견(一見)하여 의성(義城) 탑리(塔里) 오층석탑(五層石塔)을 모(模)하였음을 알겠으나 보다 규모(規模)가 적고 부분적(部分的)으로 그 생략(省略)된 곳이 있어 그 아류(亞類)임을 알겠다. 전대(前代)의 걸작(傑作)은 후대(後代)에 와서 왕왕(往往) 그 모작품(模作品)을 보게 되니 이 탑(塔)도 그러한 류(類)에 속(屬)하는 예(例)이다. 지대석(地臺石)을 십육석(十六石)으로 구성(構成)하고 그 상면(上面)에 홈을 파서 중석(中石)을 받게 하였다. 중석(中石)은 탱주(撑柱)와 면석(面石)을 별석(別石)으로 하면서 십오석(十五石)으로 구성(構成)하고 탱주는 일주(一柱)뿐으로 넓은 기단면(基壇面)을 이분(二分)하였을 뿐이다. 갑석(甲石)은 팔석(八石)으로 되었고 그 위에 탑신(塔身)을 받기 위한 비교적(比較的) 높은 괴임돌이 얹혀있다. 이와 같이 기단부(基壇部)는 매우 광대(廣大)한데 탱주도 일주(一柱)뿐이어서 긴절(緊切)한 박력(迫力)이 없다. 초층옥신(初層屋身)은 사우(四隅)에 별석(別石)으로 우주(隅柱)를 두었고 상부(上部) 40.6cm, 하부(下部) 43cm의 상촉하관(上促下寬)의 형태(形態)는 저 탑리탑(塔里塔)과 동규(同規)이다. 정면(正面)에는 고(高) 1.53m, 광(廣) 1.16m, 깊이 0.56m의 감형(龕形)을 마련하였는데 사판(四板) 석재(石材)로 연(椽)광을 표시(表示)하였을 뿐이다. 이층이상(二層以上)의 옥신(屋身)은 따라 체감(遞減)되었으며 옥개석(屋蓋石)의 체감(遞減)도 이와 같다. 각층(各層) 옥개석(屋蓋石)은 크기가 고르지 않은 석재(石材)로서 구성(構成)하였고 옥개석(屋蓋石) 받침은 각층(各層) 사단(四段)이고 낙수면(落水面) 층단(層段)은 각층(各層) 오단(五段)이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만을 남길 뿐 전실(全失)되었다. 이 탑(塔)은 이상(以上)과 같이 의성(義城) 탑리(塔里)의 모전석탑(模塼石塔)의 양식(樣式)을 따르면서도 소략(疎略)과 둔후(鈍厚)함을 드러내고 있으며 탑(塔) 남방(南方)의 비각(碑閣) 앞의 석상(石床)의 조루양식(彫鏤樣式)과 아울러 시대의 하항(下降)을 볼 수 있다. 즉(卽) 그 상면(上面)에 연판(蓮板)이 양각(陽刻)되고 측면(側面)에는 전후(前後)에 이구(二區), 좌우(左右)에 일구식(一區式)의 안상(眼象)을 조각(彫刻)하였는데 안상내(眼象內)에 있는 고사리형의 장식문양(裝飾紋樣)에서 고려시대(高麗時代) 양식(樣式)을 볼 수 있으니 이 병예석상(幷禮石床)은 아마도 탑전(塔前)에 놓였을 것으로 추측(推測)되는 점(点)에서 또한 이 탑(塔)의 시대 하항(下降)의 방증(傍證)을 삼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탑(塔)이 있는 부근(附近)을 영산사지(永山寺址)로 상정(想定)함은 이 탑(塔)이 석축(石築)의 흔적(痕跡)이 있는 광활(廣闊)한 대지(臺地)위에 위치(位置)하고 그 북방(北方)에도 당지(堂地)가 있어 가람(伽藍)의 폐지(廢址)가 유존(遺存)하고 부근(附近)에 영혈(永穴)이 있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의성(義城) 불우조(佛宇條)에 보이는 「영산사(永山寺)」「영산원(永山院)」이 모두 이곳을 두고 이름이 아닌가 추정(推定)하는 때문이다. 여하(如何)튼 저 탑리(塔里) 탑(塔)에 비해 떨어진다 할지라도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서 거작(巨作)의 하나인 동시(同時)에 우작(優作)이라 할 것이다.

학술자료

  • 1. 寶物大觀(196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남정규 / 발행처 : 남일문화출판사
  • 2. 韓國觀光資源總覽(197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국제관광자원총람 / 발행처 : 국제관광자원총람
  • 3. 塔婆(198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주홍섭 / 발행처 : 예경산업사
  • 4. (韓國文化財大系) 國寶 . 1-24(198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병삼 외 8명 / 발행처 : 예경산업사
  • 5. 文化財大觀 . 4 , 寶物 2. 塔婆(198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 발행처 : 대학당
  • 6. 名山古刹따라(198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고운, 박설운 / 발행처 : 신문출판사
  • 7. 義城郡 文化遺蹟 地俵調査 報告(198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대구대학교 박물관 / 발행처 : 대구대학교 박물관
  • 8. 세종문화유적총람 . 3(198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발행처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9.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10. 의성다가서기(199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종우 / 발행처 : 다심
  • 11. 義城의 遺勳(199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종우 / 발행처 : 의성문화원
  • 12. 義城의 古代司會(200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의성문화원 / 발행처 : 의성문화원
  • 13. 召文國에서 義城으로 :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200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국립대구박물관 / 발행처 : 국립대구박물관
  • 14.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15. (보물편)문화재대관 : 석조(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16. 한국 석탑의 감실 및 문비에 관한 연구(2005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강철홍 / 발행처 :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 17. 한국의 탑 : 보물편 . 상(200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환대, 김성태 / 발행처 : 한국학술정보
  • 18. 경상북도의 석탑Ⅵ(2012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19.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