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여성자료실

제목
허리가 아프다고 다 디스크는 아니예요!
  • 등록일2003-02-24 15:46:13
  • 작성자 관리자
내용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허리 디스크 수술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동병상련 이란 말이 있듯이 아마 허리디스크 앓고 있거나 앓아본 적이 있다면
노 당선자가 왠지 더 친근하게 느껴지지 않을까 싶은데요. 
현대인에 많다는 허리 질환 가운데 추간판 탈출증, 
허리 디스크에 대한 알아보겠습니다.

허리가 아프면 디스크에 걸렸구나하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허리가 아프다고 다  디스크가 아니구요. 허리가 아픈 환자중에 약 10-만 디스크 환자입니다.
그리고 흔히 환자들이 말하는 병명으로서 디스크라는 것은 정확한 병명이 아닙니다. 
디스크란 척추 뼈 사이에 있는 물렁뼈인데 원반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에 의학용어로 추간판이라 하고 
영어로 풀어보면 척추 뼈 사이의 디스크라고 부릅니다. 
이 디스크속에 들어있는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자극하는 것을 추간판탈출증 이라 합니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디스크가 탈출했다 하여 디스크병 이라고도 하고 더욱 간단히 디스크라고만 줄여서 말할 때가 많습니다.

디스크는 척추의 목뼈에서 부터 허리뼈까지 척추마디 사이에 끼어있는 원반모양의 일종의 관절입니다. 

이 디스크의 바깥쪽은 섬유질로 쌓여 있고 내부 중심부에는 말랑말랑한 수핵이 들어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바깥쪽 섬유를 자동차 타이어의 고무바퀴에 비유한다면, 
수핵은 공기가 들어있는 튜우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수핵이 디스크의 중심역할을 하는 부위인데, 수핵은 대부분 
점액성의 단백질로서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척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역할을 하며 또한 척추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관절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허리 디스크가 나쁜 자세에서도 올수 있다고 하던데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추간판의 탈출은 급격히 일어나기도 하고 서서히 일어나기도 하는데 
발병 원인은 퇴행성, 격렬한 스포츠, 갑작스런 체위 변화,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기나 체중증가, 염좌를 비롯한 외상, 심한 육체 노동 등입니다. 
그러나 원인이 뚜렷하게 규명되지 않는 경우도 많고 본인도 잘 모르는 가운데 
일상 생활에서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대체로 나이가 점점 많아짐에 따라 디스크 내의 수핵에 수분이 점차 줄어들고 
탄력성이 없는 섬유질로 변하게 되며,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도 탄력성이 줄어들고 
더러는 균열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처럼 연령에 따른 노화현상, 
즉 퇴행성 변화가 있는 가운데 척추에 충격이 가해지면 탄력성이 없어진 수핵이 한쪽으로 탈출하게 되고, 
탈출된 수핵이 신경근을 압박해서 디스크 증상을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다.
외상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다가 허리를 삐는 경우입니다.

여자인 경우 집안에서 무거운 살림도구들이나 김장독을 들다가,
또는 이삿짐을 옮기다가 허리를 삐는 경우가 흔합니다.
또 중노동은 아니지만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해야만 하는
사무직 종사자들도 디스크에 잘 걸릴 수 있는데 이것은 
앉아있을 때가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충격이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대체로 남성의 발병률이 여성에 비해 2배 정도이고, 
연령별로는 20대가 가장 발생이 많고, 그 다음이 30대, 
10대와 40대에서는 비슷한 발생률을 보입니다. 
또 평균 신장보다 큰 사람이나 직업상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사람, 
흡연가, 임신 경력 등을 위험인자로 보고있습니다. 

디스크가 잘 발생되는 부위는 다섯 개의 요추중 
제 4-5요추간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제 5요추-1천추간, 
제 3-4요추간의 순서로 잘 발생하고, 한 부위에 또는 여러 부위에 생기기도 합니다.

4-5 요추라면허리 아래에서 엉덩이 꼬리를 말하는데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디스크에 증상이 있으면 대개는 허리가 먼저 아프기 시작합니다. 
엉치 부위가 시큰거리고 아프며, 한쪽 둔부에 통증을 느끼게 되구요, 
그러다가 얼마 지나서부터는 한쪽 다리가 저리고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첨부파일이 다운로드 되지 않을 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