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보도자료

경북도, 『신공항 연계 주요 경제산업권 접근성 향상 연구용역 착수보고회』개최
부서명
통합신공항추진본부 공항신도시조성과
전화번호
054-880-8848
 
 
작성자
홍재정
작성일
2023-10-25 14:52:15
조회수
276
- 관광의 시작은 대구경북공항에서, 물류의 끝은 대구경북공항으로 -
- 경북도 미래 신성장 산업과 공항을 잇는 교통 기반 주문 -
3.신공항연계_주요경제산업권_접근성_향상_연구용역착수보고회.jpeg

3.신공항연계_주요경제산업권_접근성_향상_연구용역착수보고회.jpeg

경북도는 25일 3개 시군, 한국교통연구원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경북공항과 도내 주요 거점 산업권과의 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도청 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앞서 지난 2월 1일 경상북도 임시회에서 손희권 의원은 「경북 동부권 도민의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접근성 강화 방안」5분 발언을 통해 경북의 특정 지역에만 집중되어 있는 공항 연계 교통망에 대해 동부권 도민이 소외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이번 연구용역은 경상북도의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주목받을 주요 산업단지와 관광지 등 경제 산업권의 교통망을 공항 중심으로 새롭게 바꾸고 대구경북공항을 주요 교통 허브로 발전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세부내용으로는 △신공항과 경북 주요 경제 산업권의 교통망 진단 및 문제점 분석 △신공항과 영일만항 투-포트(Two-Port) 시대에 맞춘 시너지 효과 구상 △공항과 주요 산업권과의 상생발전 도모를 위한 접근성 향상 방안 전략 수립 등이다.

이날 착수보고회에서는 도내 주요 경제 산업권의 범위를 제시하고 대구경북공항 입지에 따른 통행분포, 접근성 향상 개선 방안에 따른 효과 분석 등에 대한 신공항 연계 교통망 중장기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경북도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신공항은 물론 주변 개발 지역까지 확대하여 산업단지의 물류 및 주요 관광지의 여객 수송 통행시간 단축 방안과 신공항 이전 계획에 따른 새로운 교통망 구상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남억 경북도 대구경북공항추진본부장은 “대구경북공항은 경북의 새로운 발전 방향의 중심이 될 것이다”라며, “‘관광은 편리하게, 물류는 더욱 빠르게’, 다시 찾고 싶은 대구경북공항을 만들기 위하여 교통망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연락처 :
054-880-4325
최종수정일
2022-02-09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