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발생과정

어미로부터 방출된 알은 정자와 만나게 되고(수정), 난 세포는 세포분열을 계속한 후 난내 배 시기가 된다. 배는 외부에서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정도로 발생이 진행된 후 부화가 되는데, 부화되기 전 까지의 시기이다. 알 속에 있던 어류의 배반은 하나의 세포로 수정이 되면 2세포, 4세포 등 난할기와 포배기, 낭배기, 배발달기를 거쳐 일정한 수준으로 기관이 형성된 후에야 배가 알 껍질을 벗고 나온다. 이 시기동안 난황은 발생에 필요한 영양분으로 외부에서 전혀 먹이를 취하지 않고도 살아가지만 도피능력이 전혀 없으므로 다른 어종에 피해를 당하기 쉽고, 호흡에 필요한 산소와 물은 난막을 통과하여 전달되므로 주변 환경이 좋아야 하며, 어종에 따라 난을 부착시키거나 보호하는 등 여러 가지 생존전략이 나타난다.

민물고기 종류별 발생과정

꺽지

밀어

빙어

각시붕어

감돌고기

돌마자

수수미꾸리

임실납자루

자치

줄납자루

칼납자루

큰볏말뚝망둥어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민물고기연구센터
담당자
연락처 :
054-783-9413~4
최종수정일
2019-09-2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