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사회적기업 자가진단

QUESTION
01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독립된 조직형태를 갖추어야 합니다. 다음중 해당하는 조직의 형태는 무엇입니까?

귀하는 사회적기업으로 운영 적합한 민법상 법인 또는 조합, 상법상 회사입니다.

참고사항
  • 비영리법인과 단체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익사업을 별도의 사업단으로 하는 경우
    • 모법인과 인사/회계/의사결정이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가능
    • 객관적 확인은 모법인의 정관, 모법인의 공증된 이사회 의사록, 사업단의 정관등으로 확인
    • 법인내 사업단은 인증 신청시 2년 이내 분리독립계획서(독립 절차 및 추진 일정)를 제출해야 함
  • 영농조합 등 농업법인의 경우 상법상 법인의 인증기준을 준용
증빙서류
  •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신청을 하기위해서는 해당 기관만 조직형태를 증빙할 수 있는 다음의 서류들 중 하나를 제출하여야 함
    • 법인설립허가증
    • 법인등기부등본
    •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주무부처, 허가(등록)날짜 기재) /사업자등록증(필수)
    • 개인사업자, 간이과세자, 고유번호증,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자활공동체인증서만 제출하는 경우에는 불인증

귀하는 사회적기업으로 운영 적합한 공익법인입니다.

참고사항
  • 비영리법인과 단체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익사업을 별도의 사업단으로 하는 경우
    • 모법인과 인사/회계/의사결정이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가능
    • 객관적 확인은 모법인의 정관, 모법인의 공증된 이사회 의사록, 사업단의 정관등으로 확인
    • 법인내 사업단은 인증 신청시 2년 이내 분리독립계획서(독립 절차 및 추진 일정)를 제출해야 함
  • 영농조합 등 농업법인의 경우 상법상 법인의 인증기준을 준용
증빙서류
  •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신청을 하기위해서는 해당 기관만 조직형태를 증빙할 수 있는 다음의 서류들 중 하나를 제출하여야 함
    • 법인설립허가증
    • 법인등기부등본
    •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주무부처, 허가(등록)날짜 기재) /사업자등록증(필수)
    • 개인사업자, 간이과세자, 고유번호증,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자활공동체인증서만 제출하는 경우에는 불인증

귀하는 사회적기업으로 운영 적합한 비영리민간단체입니다.

참고사항
  • 비영리법인과 단체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익사업을 별도의 사업단으로 하는 경우
    • 모법인과 인사/회계/의사결정이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가능
    • 객관적 확인은 모법인의 정관, 모법인의 공증된 이사회 의사록, 사업단의 정관등으로 확인
    • 법인내 사업단은 인증 신청시 2년 이내 분리독립계획서(독립 절차 및 추진 일정)를 제출해야 함
  • 영농조합 등 농업법인의 경우 상법상 법인의 인증기준을 준용
증빙서류
  •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신청을 하기위해서는 해당 기관만 조직형태를 증빙할 수 있는 다음의 서류들 중 하나를 제출하여야 함
    • 법인설립허가증
    • 법인등기부등본
    •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주무부처, 허가(등록)날짜 기재) /사업자등록증(필수)
    • 개인사업자, 간이과세자, 고유번호증,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자활공동체인증서만 제출하는 경우에는 불인증

귀하는 사회적기업으로 운영 적합한 사회복지법인입니다.

참고사항
  • 비영리법인과 단체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익사업을 별도의 사업단으로 하는 경우
    • 모법인과 인사/회계/의사결정이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가능
    • 객관적 확인은 모법인의 정관, 모법인의 공증된 이사회 의사록, 사업단의 정관등으로 확인
    • 법인내 사업단은 인증 신청시 2년 이내 분리독립계획서(독립 절차 및 추진 일정)를 제출해야 함
  • 영농조합 등 농업법인의 경우 상법상 법인의 인증기준을 준용
증빙서류
  •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신청을 하기위해서는 해당 기관만 조직형태를 증빙할 수 있는 다음의 서류들 중 하나를 제출하여야 함
    • 법인설립허가증
    • 법인등기부등본
    •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주무부처, 허가(등록)날짜 기재) /사업자등록증(필수)
    • 개인사업자, 간이과세자, 고유번호증,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자활공동체인증서만 제출하는 경우에는 불인증

귀하는 사회적기업으로 운영 적합한 생활협동조합입니다.

참고사항
  • 비영리법인과 단체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익사업을 별도의 사업단으로 하는 경우
    • 모법인과 인사/회계/의사결정이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가능
    • 객관적 확인은 모법인의 정관, 모법인의 공증된 이사회 의사록, 사업단의 정관등으로 확인
    • 법인내 사업단은 인증 신청시 2년 이내 분리독립계획서(독립 절차 및 추진 일정)를 제출해야 함
  • 영농조합 등 농업법인의 경우 상법상 법인의 인증기준을 준용
증빙서류
  •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신청을 하기위해서는 해당 기관만 조직형태를 증빙할 수 있는 다음의 서류들 중 하나를 제출하여야 함
    • 법인설립허가증
    • 법인등기부등본
    •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주무부처, 허가(등록)날짜 기재) /사업자등록증(필수)
    • 개인사업자, 간이과세자, 고유번호증,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자활공동체인증서만 제출하는 경우에는 불인증

귀하는 사회적기업으로 운영 적합한 협동조합, 협동조합연합회, 사회적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입니다.

참고사항
  • 비영리법인과 단체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익사업을 별도의 사업단으로 하는 경우
    • 모법인과 인사/회계/의사결정이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가능
    • 객관적 확인은 모법인의 정관, 모법인의 공증된 이사회 의사록, 사업단의 정관등으로 확인
    • 법인내 사업단은 인증 신청시 2년 이내 분리독립계획서(독립 절차 및 추진 일정)를 제출해야 함
  • 영농조합 등 농업법인의 경우 상법상 법인의 인증기준을 준용
증빙서류
  •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신청을 하기위해서는 해당 기관만 조직형태를 증빙할 수 있는 다음의 서류들 중 하나를 제출하여야 함
    • 법인설립허가증
    • 법인등기부등본
    •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주무부처, 허가(등록)날짜 기재) /사업자등록증(필수)
    • 개인사업자, 간이과세자, 고유번호증,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자활공동체인증서만 제출하는 경우에는 불인증

귀하는 사회적기업으로 운영 적합한 비영리단체입니다.

참고사항
  • 비영리법인과 단체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익사업을 별도의 사업단으로 하는 경우
    • 모법인과 인사/회계/의사결정이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될 경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가능
    • 객관적 확인은 모법인의 정관, 모법인의 공증된 이사회 의사록, 사업단의 정관등으로 확인
    • 법인내 사업단은 인증 신청시 2년 이내 분리독립계획서(독립 절차 및 추진 일정)를 제출해야 함
  • 영농조합 등 농업법인의 경우 상법상 법인의 인증기준을 준용
증빙서류
  •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신청을 하기위해서는 해당 기관만 조직형태를 증빙할 수 있는 다음의 서류들 중 하나를 제출하여야 함
    • 법인설립허가증
    • 법인등기부등본
    •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주무부처, 허가(등록)날짜 기재) /사업자등록증(필수)
    • 개인사업자, 간이과세자, 고유번호증,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자활공동체인증서만 제출하는 경우에는 불인증

인증이 불가합니다

사회적기업의 경우, 반드시 1~8에 해당하는 조직의 형태를 갖추어야만 합니다.
또한 개인사업자 및 공공기간 출연, 출자 및 자치단체의 경우는 인증이 불가합니다.

기타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시면 경북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TEL : 053-950-3527 로 연락바랍니다.
  • 위 내용은 2014년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갱신이후 정보와 상이할 수 있으니 진단시 유의해주세요.
  • 이외의 기타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신분은 경북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053-950-3527로 전화주세요.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2-10-24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