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식물

경상북도 식물 게시판 제목, 내용에 관한 표입니다.
제목 내용
이대(신위대)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라며 높이 2∼5m, 지름 5∼15㎜에 달한다. 1년째의 줄기에는 거의 가지가 나오지 않으며 2년째의 줄기에서는 각 마디에서 1개씩의 가지가 나온다. 마디사이는 길며 마디는 낮고 줄기는
일년초, 섬유식물로 널리 재배된다. 줄기는 1∼2.5m로 직립하고, 둔한 사각형이고, 잔털이 있으며, 녹색으로, 상부에서 분지한다. 잎은 하부에서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5∼9개로 갈라진 장상복엽이나 상부에
한삼덩굴 길가에 흔히 보이는 덩굴성 일년초, 자웅이가이다. 줄기 및 엽병에 밑으로 향한 가시가 있다. 엽병은 길이가 3∼15㎝, 잎은 장상으로 5∼7개로 갈라진다. 꽃은 9∼10월경에 달리며, 수꽃이삭은 원
개모시풀 다년초, 줄기는 모여나고, 크기는 1m내외이다. 둔한 능선이 있고 단모가 밀생한다. 잎은 대생하고, 광난형 또는 원형, 폭 12∼18㎝, 끝은 대부분이 3개로 갈라져 꼬리처럼 되고, 가장자리는 결각상으로 위로
쐐기풀 다년초, 줄기는 모여나고, 크기는 40∼80㎝이다. 아래쪽으로 향해 난 가는 털이 밀생한다. 줄기와 잎에 많은 극모가 있어, 쏘이면 매우 아프다. 잎은 대생, 긴 엽병이 있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6∼1
제비꿀 반기생하는 다년초,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하부에서 분지하며 높이가 15∼35㎝이다. 잎은 호생, 선형, 예두로, 길이 2.5∼5㎝, 3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은 4∼6월에,
분단나무 제주도 및 울릉도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5m에 달한다. 가지의 골속은 흰빛이며 어린 가지에 성모가 있다.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길이 10∼20㎝로서 넓은 난형, 난상원형 또는 원형이고 둔두 또는 급한
산가막살나무 각지의 산복부의 수림하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3m에 달한다. 어린 가지에는 처음에 털이 있고 나중에는 거의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8∼14㎝로서 넓은 도란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
백당나무 각 지역 산록부나 산골짜기의 습윤지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3m에 달한다. 어린 가지에 털이 있고 잎은 대생하며 끝부분이 흔히 3개로 갈라지며 윗 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것도 있다. 잎은 길이 5∼10㎝
섬댕강나무 울릉도의 바위틈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80㎝에 달한다. 원줄기에 6개의 홈이 졌으며 가지는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3∼5㎝로서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점첨두 또는 첨두이며 예저이고
검색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