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경북을 빛낸 인물

경상북도를 빛낸 수많은 인물들을 안내합니다.

경북을빛낸인물 목록을 번호, 인물명, 요약설명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인물명 요약설명
131 금원정 금원정(琴元貞)의 자(字)는 정숙(正叔)이고 호(號)는 농수이며 본관은 봉화(奉化)로서 문곡 금휘(文谷琴徽)의 아들이다. 연산군(燕山君) 때에 진사(進士)가 되고 중종(中宗) 때에 ...
132 금윤선 자(字)는 이술(而述)이고 본관은 봉화(奉化)로서 상운면 문촌(文村)에서 자랐다. 자라서는 관직에 나가 훈련원정(訓練院正)을 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경상도 안집사(慶尙道安集使)인 ...
133 금응협 자(字)는 협지(協之)이고 호(號)는 일휴당(日休堂)이며 본관은 봉화(奉化)다. 퇴계 이황(退溪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문과(文科)를 거치지 않고 참봉(參奉)에 발탁 되었다가 사직 ...
134 금응훈 자(字)는 훈지(壎之)이고 호(號)는 면진재(勉進齋)이며 본관은 봉화(奉化)로서 일휴당 금응협의 아우이다. 퇴계 이황(退溪李滉)의 문인으로 스스로 학문에 전력하여 사림(士林)들의 ...
135 금의 고려 중기에 한 세대를 풍미한 이름난 문신으로서 문하시랑 평장사 영열공(文下侍郞平章事英烈公)인 금의(琴儀) 선생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었으며 6태사(太師)의 한 분인 금종식의 6세 손 ...
136 금한룡,금해룡 금한룡과 해룡 형제는 조선 중종(中宗) 때에 상운면 문촌리에서 금응양(琴應陽)의 손자로 태어났으며 선천적으로 뛰어난 신체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도량(度量) 또한 컸다. 장차 무인( ...
137 금휘 자(字)는 자유(子猷)이고 호(號)는 문곡(文谷)이며 본관은 봉화(奉化)로서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서 영렬공(英烈公) 금의(琴儀)의 후손이다. 세조(世祖)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
138 길숙 자는 백윤 본관은 선산 야은 재의 7세 손이며 직장 운득의 아들이다. 서사에 박람하였으나 관직에 나가 일찌기 39세로 요절 하였다. ...
139 길운절 임진란이 끝나고 국력이 소진하고 민생은 밑바닥을 헤매고 있을 1581년, 아포에 살다가 패륜으로 쫓겨나 선사에서 살고 있던 길운절(吉云節) 일당이 반역을 꾀하였다. 역적 정여립(鄭 ...
140 길재(吉再) 해평 길씨로서 중정대부 지금주사 원진(中正大夫 知錦州事 元進)의 아들로 1353(고려 공민왕 2년)에 고아면 봉한리(鳳漢里)에서 출생하였다. 이름은 재(再), 자는 재부(再父), ...
검색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