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경북을 빛낸 인물

경상북도를 빛낸 수많은 인물들을 안내합니다.

경북을빛낸인물 목록을 번호, 인물명, 요약설명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인물명 요약설명
1651 최복하 고려 정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성판윤을 거쳐 보문각 직제학과 대사간을 지낸 사람이다. 이성계의 위하도 회군과 왕권침범으로 비행이 잦아 이를 못마땅히 여기는 동시 고려의 운명이 멀지 ...
1652 최부자 우리의 옛 말에 "부자가 삼대 가기 어렵다(富不三代)" 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부(富)를 이루기도(創業) 어렵지만 이를 지속시키기도(守成) 어렵다는 말을 나타낸다. 그런데 조선(朝 ...
1653 최사로 선생은 화순 최씨로 1406(태종 6)년에 태어났다. 초휘는 원로, 자는 의수였다. 1434(세종 16)년 알성과(謁聖科)에 급제하여 한림(翰林)이 되고 여러 직을 거친 뒤 146 ...
1654 최사룡 호는 몽와, 울진군 북면 마분동에서 태어나 승훈랑의 벼슬을 하였다. 당시 강원감사 이태우가 울진에 순시를 왔다가 여관에서 자는데 꿈에 용 네 마리가 구슬을 다루면서 하늘로 오르던 ...
1655 최산용 관향은 영양(令孃)으로서, 고경면 덕곡리에서 태어났다. 성질이 용감하고 위엄이 당당하였다. 6촌 형인 유정(有情)에게 글을 배워 문장에 능숙하였고 충효의 큰 뜻을 잘 배웠다. 15 ...
1656 최산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인재선생의 아들이다. 선조(宣祖) 8년(1578) 해평면 해평동에서 태어나시니 자는 백옥(伯玉), 호는 낙남(洛南)이다. 천성이 강직하고 재주가 뛰어났 ...
1657 최선문 선생은 화순 최씨로 증 이조판서 최장강과 열부 강씨의 외동 아들로 감천면 하로에서 태어났다. 자는 경부요 호는 동대이다. 젊어서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고향에서 숨어 ...
1658 최송설당 한 여자의 몸으로 몸에 걸친 옷가지를 빼놓고 가진 것 모두를 송두리째 민족교육을 위한 육영사업에 바친 할머니가 있으니 그가 최송설당여사(崔松雪堂女史)이다. 당시 쌀 한 가마 10원 ...
1659 최승로 최승로는 고려초기의 대학자이며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의 6대 임금 밑에서 벼슬을 했으며 고려의 문치주의적 제도를 확립시키는데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다. 고려의 정 ...
1660 최시창 원남면 매화2리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정제, 세종때 삼군도 진부사를 지냈다. 단종을 쫓아내고 세조가 등극하자 벼슬을 버리고 순흥에 내려와서 단종의 숙부인 금성대군 유와 순흥부사 이보 ...
검색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