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경북을 빛낸 인물

경상북도를 빛낸 수많은 인물들을 안내합니다.

경북을빛낸인물 목록을 번호, 인물명, 요약설명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번호 인물명 요약설명
1741 홍노 홍노(洪魯) 선생의 자는 득지(得之) 호는 경제(敬齊) 관향은 부림(缶林)으로 한 것은 고려 시중(侍中) 난(鸞一作蘭)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처음에 남양홍씨와 같은 조상인 학사공(學 ...
1742 홍녹주부자 나라에 변란이 있을 때를 틈타서 자신의 지위를 확보하고 나아가 국가를 전복시키는 역신이 있는가 하면 그 음모에 대항하여 신하된 도리를 다한 충신도 있다. 이 충신에 드는 이로 개령 ...
1743 홍림 청빈(淸貧)한 도학(道學)선비 홍림(洪霖)은 조선 선조 때의 학자인 공의 자(字)는 여용(汝庸)이요 호는 경암(警岩)이다. 1525년(중종 20년)에 소보면 부황리(扶皇里)에서 사 ...
1744 홍사구 1878년(고종15)에 봉화군 봉화면 문단리에서 화포 홍익한(花浦 洪翼漢)의 9대 방손(傍孫)으로 출생했다. 집이 너무 어려워 여러 곳을 전거하다가 경기도 저평 상석리에서 살면서 ...
1745 홍삼옥 고로면 학성동 청학 마을에 우뚝 솟은 비각과 단청도 산뜻한 사당이 있으니 곧 삼옥헌(三玉軒) "홍삼옥 여사"의 효열비와 그를 모신 사당이다. 광복이후 물밀 듯이 들어온 퇴폐풍조에 ...
1746 홍상 부모의 상을 당하여 여모할 때 산날이란 짐승이 쫓아와 엎드려 살려줄 것을 구원하는 듯한 시늉을 하므로 나무꾼들에게 "이 짐승은 반드시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짐승이므로 해롭게 하지 ...
1747 홍석 자는 공숙(公叔)이고 호는 손우당(遜愚堂)이며 본관은 남양으로 청음 김상헌의 문인이다. 병자호란이 항복으로 끝나자 관직을 버리고 봉화의 태백산 아래에 은거하며 학문을 닦았다. ...
1748 홍석구 충효겸비(忠孝兼備)한 홍석구(洪錫龜)공은 조선 중종때 무신(武臣) 자(字)는 가천(可天)이며 본관(本貫)은 남양(南陽)이다. 공의 부는 훈련참군(訓練參軍) 승무(繩武)이고 조(祖) ...
1749 홍성철 선생의 휘는 성철(性澈)이요 자는 선여(善汝)이며 호는 재헌(齋軒)이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1829년(순조 29년)에 태어났다. 남양 홍씨(南陽 洪氏)의 시조(始祖)인 홍천하( ...
1750 홍세공 자는 중안(仲安)이고 호는 봉계(鳳溪)이며 본관은 남양으로 군수 홍보의 아들이다.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현감, 부사로 있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 함경도와 전라도의 관찰사로 전 ...
검색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